3년 연속 한계기업도 21% 달해
비수도권 비중 수도권보다 높아
20대 청년 취업자 1년 새 33%↓
[대한경제=박흥순 기자]국내 건설기업들이 한계기업으로 내몰리면서 건설업 고용시장에 직격탄을 날렸다.
건설기업 부실 우려는 건설업 취업자 수의 마지노선인 200만명을 속절없이 무너뜨렸고, 특히 미래성장동력인 청년층 일자리는 1년 새 3분의 1 토막이 나며 산업기반마저 붕괴될 처지에 놓이게 됐다.
![]() |
30일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지난 2023년 기준 외부감사 대상 건설사 중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인 부실기업의 비중은 47.5%에 달했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 비용으로 나눈 값으로, 1 미만이면 사실상 영업활동으로 이자조차 감당하지 못한다는 의미다.
3년 연속 이 상태가 지속된 한계기업 역시 전체의 21.5%(종합건설업 25.8%ㆍ전문건설업 15.2%)를 차지해 외부의 도움 없이는 생존이 어려운 기업이 5곳 중 1곳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기는 지역으로 갈수록 더욱 심각한 양상을 보였다. 최근 1년간 비수도권의 한계기업 비중은 22.7%로 수도권(20.5%)보다 높았으며, 증가폭 역시 비수도권이 더 컸다. 권역별로 보면 영남권의 한계기업 비중이 24.9%로 가장 높았고, 호남권이 23.5%로 뒤를 이었다.
건설기업의 부실한 재정 여건은 고용시장의 발목을 잡았다.
지난 2022년 219만명으로 정점을 찍었던 건설업 취업자 수는 올 들어 200만명선을 반납했다. 지난 4월 기준 전체 건설업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7.1% 감소했는데, 이는 같은 기간 전 산업(-0.2%) 및 제조업(0.5%)과 비교해 두드러졌다.
미래인력 유출은 더 심각하다. 건설업의 20대 청년 취업자는 1년 만에 33.1% 급감했다. 전체 건설업 취업자 중 20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 초 8%대를 유지했으나, 지난 4월에는 5.6%까지 곤두박질쳤다.
청년층의 건설업 외면이 가속화하면서 고령화와 숙련인력 단절 문제가 현실화됐다. 향후 건설경기를 가늠할 선행지표인 건설수주액마저 올 초부터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어 당분간 고용한파는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위기가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부실, 원자재·노무비 상승 등 경기적 요인에 더해 최저가낙찰제, 불법 재하도급, 부실업체 난립 같은 해묵은 구조적 문제가 결합된 결과라고 보고 있다.
과도한 경쟁에 따른 저가 수주가 노무비 절감 압력으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저임금·저숙련 인력과 외국인 노동력 수요 증가, 근로조건 악화, 안전 문제로 번지며 청년층의 이탈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고착화됐다는 분석이다.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단순한 경기 부양책만으로는 현재의 복합위기를 해결하기 어렵다”며 “건설공사비용 현실화 및 근무환경 개선, 전문기술인력 장기근속 지원방안 마련, 기능등급제와 적정임금제의 실행과 안착, 안전관리자 양성과 고용 확대 등 을 통해 장기적으로 산업의 체질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흥순 기자 soonn@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